1. 사방치기 놀이 방법

 

넓은 들이나 한길에 여러 모양의 그림(밭)을 그려놓고 일정한 순서에 따 라 돌을 차며 가거나 또는 주워 던지며 노는 어린이 놀이이다. 밭이라는 말 은 이웃과 함께 일하는 농촌의 생활구역인 것이다. 두 세 사람이 하거나 편을 갈라서 하는데 편편하고 차기 좋은 네모꼴 모양의 돌을 마련하여 그려놓은 모양(밭)에 한 칸 한 칸 선을 밟지 않고 앵금질로 차가는 놀이로 시작부터 끝까지 뛰어다녀야 한다. 던졌을 때나 찬 돌이 그어놓은 선에 닿게 되면 실격 이 되고, 또 선을 밟아도 안된다. 그러므로 칸 속을 향해서 조심스럽게 돌을 던져야 하는 민속놀이이다.
1) 1번에 돌이 놓인 경우 2, 3번은 앙감질로, 4, 5는 다리 벌려 모둠발로 가며, 6은 앵금질, 7, 8은 다리 벌려 모듬발로 간다. 7, 8에서 뛰어돌아 역순으로 돌아와 2에서 앵금질로 선 채로 돌을 집어 들고 출발점 으로 나온다. 2-8까지 같은 요령으로 하지만, 놓인 돌의 위치에 따라 앵 금질과 다리 벌려 모듬발 하는 곳이 조금씩 다르다. 9번에서는 출발점에서 9에 돌을 던져 놓고 차례로 건너가 9에서 돌을 발등에 올려 놓은 다음, 발을 들어 손으로 받은 후 다시 되돌아 나오면 1회가 끝난다.돌을 집을 때 한 손 짚고 집거나, 가까이 다가가서 집어도 된다. 던진 돌 이 선에 닿거나, 말판 밖으로 나가면 죽는다. 앵금질이나 모듬발로 옮길 때 선을 밟으면 죽는다.

2) 출발점에서 1에 돌을 던지고 모둠발로 선다. 한 발로 서서 돌을 2에 보낸다. 2에 앵금질로 가서 3에 돌을 차 보낸 다음 모듬발로 서서 잠시 쉰다. 한발로 서서 4에 차고 앵금질 두다리 벌려 모듬발 앵금질 순으로 4에 간 다음 모듬발로 잠시 쉰 다음 한발로 서서 5에 돌을 찬다. 5에서 앵금질로 뛰어가 한발로 서서 6에 차 보낸다. 6~9까지는 1~4의 방법과 같다. 다음 9에서 발등에 돌을 올려 위로 한 다음 한손으 로 받아 들고 8-1 순으로 되돌아온다. 다음은 2에서 돌을 던지고 계속 같은 방법으로 놀이하여 9번까지 먼저 끝내는 편이 이긴다.

사방치기 진행 방법

2. 망차기 놀이 종류

 

망차기는 땅 위에 도형을 그려놓고 동글납작한 돌을 한 발로 차면서 승부를 겨루는 어린 여자아이들의 놀이이다. 망차기라고 한 것은 동글한 망돌같 은 것을 치며 논다는 뜻이며 사방차기, 팔방 차기는 이 쪽 또는 저쪽으로 망을 차며 놀이를 한다는 뜻을 담은 것이다. 두 명 이상의 어린이들이 모여서 하는 놀이인데, 망은 1~1.5cm 두께의 납 작한 돌이나 오지그릇 조각 직경 6~8cm 정도 되게 동그랗게 다듬은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네발 망차기, 우물망차기, 동수내기 망차기 등이다. 이밖에 가 세망차기, 망줏기 등이 있다.
1) 네발망차기
(개)밭순서 차기 놀이: 1-3까지 망을 차서 간 다음 4 밭에서 쉬었다가 계 속 3-1까지 나온다. 이때 두 번째는 2부터, 세 번째는 3부터 시작하여 나온다. (내 뛰어넘기 놀이: 망을 발등에 놓고 올려 던져서 한 손으로 망을 잡는 방법으로 시작하여 1 밭을 뛰어 2, 3 밭을 거쳐 4 밭에서 쉰 다음 한 발로 다 시 1밭까지 돌아와 망을 찬다. (대) 눈감고 놀이: 망을 놓고 눈을 감고 한발로 뛰어서 1-3까지 거쳐 4 에서 두발로 서서 눈을 뜨고 쉰 다음 다시 눈감고 1까지 차례로 한발로 돌 아와 망을 손더듬어 찾아쥐고 나온다. (라) 발가지기 놀이: 뒤로 돌아서서 망을 밭이 있는 쪽으로 향해 머리뒤로 던지는 방법으로 한발로 뛰면서 받순서 차기와 같이 한다.

(1) 밭 더가지기 놀이 : 네 밭 망차기의 마지막 놀이로 뒤로 돌아서서 망을 머리 뒤로 던지는데 밭 가지기와 달리 더가지기이므로 남의 밭에 망이 들어가 도록 던진다.

2) 가새밭망차기

네 밭 망차기와 비슷하나 용문과 가새 밭을 지나는 길이 더 있다. 먼저 던져놓고 한 발로 뛰면서 망을 차서 간다. 멀리 차 놓고 한 곳에 들려 2~3밭에서 두발 짚고 쉰 다음 한발로 한 곳에 갔다가 망을 차고 한 곳을 거쳐 처음 간곳으로 간 다음 용문으로 차 넘기고 계속 한발로 뛰어 갔다가 두발짚고 2밭을 지나 용문으로 나간다.
3)하늘밭망차기
네발 망차기와 비슷하며 앞에 망을 던져 한 발로 뛰며 앞에서 중간으로 차 넣은 다음 하늘밭에 들어가면서 두발을 다 내려 짚고 쉰다. 모두 뛰어 망을 차면서 하늘 망을 거쳐 나온다.
4)우물망차기
1부터 8까지 네밭과 같이 하고 8에서 쉬고 돌아온다. 1 밤놀이가 끝나 면 되돌아서서 소, 말, 개, 오리, 닭밭에 망을 머리너머로 던져 1부터 8까 지 가서 쉰 다음 말말까지 가서 눈을 감고 8에서 눈을 뜨고 확인하고 눈을 감은 다음 우물 밭을 넘는다. 다음 눈을 뜨고 눈을 뜨고 오던 길로 망을 차 면서 나온다. 8에서는 쉴 수 있으므로 두발을 놓을 수 있다.

5) 망줍기(망줏기)
망을 1 밭에 넣고 그림과 같이 번호 순서대로 하는데 1, 2, 5, 6, 9는 외발로 망을 차며 3과 4, 7과 8은 두발로 짚으며 쉬었다 돌아온다. 다음 은 2 밭부터 8 밭까지 거치는데, 3 밭에 망이 들어가면 4 밭에서 줍고 4 밭에 있으면 3에서 주우며 쉬지는 못한다. 7, 8도 3, 4와 같다. 9 발망은 7, 8을 뛰어 9 밭 밖에서 주은 다음 9 밭을 뛰어넘어 온다.
6)망차서 돌아오기
같은 수의 인원으로 편을 가르고 출발선으로부터 10~20m 거리에 정해놓은 표식점을 돌아오는 방법이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