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자놀이


사자놀이는 중국에 원소절에 실행한 전통놀이 중의 하나이다. 또 하나의 전통 체육 종목이면서 전통문화 예술이기도 하다. 가장 대표적은 민속놀이이고 대중 민속 전통놀이를 꼽힐 수 있다. 사자는 동물의 왕으로 중국 전통 풍습 중에서 항상 사자를 마스코트로 여기고 사자가 악을 쫓고 복을 불러서 재난을 피해 평안을 유지할 수 있다는 생각 했다. 사람들은 사자를 오색찬란하게 꾸며서 용맹스러우면서도 귀엽게 만들었다. 이는 사람들과 동물들의 안녕과 건강을 기원하는 전통 풍속이다. 중국의 땅이 넓어가지고 중국의 뛰어난 민간 예술로 명절이나 집회 축제 때마다 민간은 사자놀이로 흥을 돋운다. 북방에서 남방에 이르기까지 도시에서 농춘에 이르기까지 명절이나 경축할만한 행사 때가 곳곳에서 통쾌한 사자놀이를 볼 수 있다. 사자놀이는 남북으로 나뉘며 남방은 광동(廣東) 지역의 사자놀이로 가장 유명하고 성대하다. 사용되는 사자의 모습은 위풍당당하고 동작이 굳세며 표정이 변화무쌍하여 광동 지역에서 많이 사랑을 받았더니 사람들은 ‘깨어 있는 사자’라고 부른다.


2. 모내기 춤추기


사자놀이를 하는 면서 농촌 향토 특색의 모내기 춤추기를 하는 경우도 많다. 이 모내기 춤추기는 농촌뿐만 아니라 지금 도시에서도 정월대보름에 자주 볼 수 있는 전통 민속놀이가 있으며 중국에서 처음으로 국가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다. 중국에서는 농촌을 막론하고 새벽이나 해질 무렵 마을 어귀 또는 마을 중앙에 있는 광장마다 남녀 노인들의 한바탕 춤판을 쉽게 볼 수 있다. 이 춤은 농민들이 모내기를 할 때 부르는 일종의 노동가요로서 농업 생산 활동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모내가 춤추기는 보통 “뉴 양거”라고 부른다. 모내기 춤추기의 기원은 중국 민간에서는 고대 농민들이 모내기, 모를 뽑기 등
농사 노동을 하면서 얼굴이 황토로 향하고 등이 하늘로 향하고를 덜어주기 위해 노래를 부르면 점차 또 다른 모가가 형성되었다는 설이 있다. 또한 고대 황허 둔치의 백성들은, 생존을 위해 힘을 다해 홍수에 맞서다가, 마지막에 승리를 거둔다. 모두들 기뻐하며 홍수 방지 도구를 들고, 노래를 부르고, 노래를 조합하여 흥겨운 마음을 표현하였고, 참가 인원이 증가함에 따라 춤동작이 생겼다. 전해지는 지역이 따라 중국에서 섬 북 양거, 동북 양거, 하남 양거, 허베이 양거, 산동 교주 양거 등, 많이 있다. 이런 양가들은 각각의 다른 특색이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춤추는 사람이 다 양한 인물의 역할을 맡아 손에 부채, 손수건 또는 비단 등을 들고 방송한 음악의 리듬을 따라 춤을 춘다. 명절을 위해 즐거운 분위기를 부여하였다.

원소절


3. 불꽃놀이


불꽃은 연화라는 명칭이 있다. 이 날 저녁 전국 각지에서는 또한 각양각색의 불꽃놀이 온 시대를 만난다. 아이들도 온갖 예쁜 등불을 들고 이 거리 저거리 가서 누빈다. 이 행사는 옛날 때부터 현재까지 지속되어 내려오고 있다. 밤 축제에서 볼 수 있는 불꽃놀이는 중국에서 약 천 년 전에 발명된 것으로 이는 9세기의 화약 발명으로 비롯된 것이었다. 종교 축제에서는 화약을 채운 대나무관을 불 속에 던져 폭발시켰는데, 이는 폭발음이 악한 기운을 쫓아버린다는 미신에 바탕을 둔 것으로 보인다. 이 작은 폭탄 중 일부에서는 가스가 생성되어 로켓처럼 날아올랐을 가능성도 높다. 시대의 변천에 따라 불꽃놀이도 근래에는 드물게 전승이 될 것이고 벽사와 풍농, 풍어의 점 세사상(占歲思想)도 사라질 것이며, 축제나 대행 행사 때 순전히 재미 본위의 오락적인 측면으로 끌려갈 것이다. 하늘에 화려한 불꽃과 채색 등이 도시를 아름답게 장식해 많이 시민들의 시선을 끌었다. 불꽃놀이는 명절 분위기를 가득 채우고 있고 가족들과 함께 행복한 시간을 나누는 원소절, 그 아름다운 전통을 우리는 계속 전승해야 할 바이다. 중국에서 불꽃놀이와 폭죽을 같이 하는 경우가 많다. 중한 날로 연화와 폭죽을 같이 하고 그 규모가 얼마나 대단하다.

불꽃


4. 등롱 수수께끼 맞히기


원소절의 밤에 불꽃놀이를 하는 동시에 등롱 수수께끼를 풀린 것은 원소절에 실행한 재미있고 사람들은 지혜를 증장할 수 있는 전통놀이가 있다. 등롱 수수께끼는 지혜를 깨우치게 하고 명절 분위기에 적합하기 때문에 대중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등롱 수수께끼를 맞히기는 점점 원소절을 빠져서는 안 될 놀이가 될 것이다. 등롱 수수께끼는 명절 분위기를 고취시킬 뿐만 아니라 중국 고대 노동자들은 영리함과 재치를 엿볼 수 있어가지고 즐겁고 원만한 생활을 지향하는 놀이라고 할 수 있다. 형형색색의 등롱 수수께끼를 맞힐 통해서 넓고 심오한 중화 문화를 느낄 수 있다. 등에 수수께끼를 적어 내걸면 사람들은 그 답을 맞히는 이 풍습은 춘추전국 시대에 부자들에 대한 풍자와 해학에서 시작됐다. 지금까지도 원소절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한 데 모여 수수께끼를 내고 맞히기를 즐기는데 일 년 내내 기쁨이 넘치고 평안하길 바라는 마음이 담겨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